본문 바로가기

챗GPT5

ChatGPT vs Perplexity vs Claude, 누가 진짜 똑똑할까? 『 '데이널'의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는? 』여러분은 대화형 AI의 빅 3을 아시나요? ChatGPT가 모두 평정했는지 알았는데, Perplexity, Claude가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이 3개 언어 모델은 각자의 특별한 차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바로 알아볼까요.   ChatGPT가 가장 유명하기 때문에 증가세가 가파릅니다. 하지만 성능상으로 다른 대화형 AI도 먼저 사용해본 사람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역전될지 여부는 아무도 모릅니다.  Perplexity의 특징Perplexity는 인터넷을 자유자재로 검색하는 측면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검색하고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능력이 있죠. 아마도 네이버가 만들고 있었던 Cue가 이런 모습이 아니었을까 생각될 정도더군.. 2024. 10. 8.
ChatGPT를 기업 업무에 활용할 수밖에 없는 이유 『 '데이널'의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는? 』 최근 많은 사람들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기 시작했죠. 하지만 아직까지는 검색의 2~3% 정도만 활용하고 있다는 최근 통계를 보고 의아했습니다. ‘아직은 ChatGPT를 활용하는 사람만 하고 있구나’ 생각했죠. 특히 프로젝트를 위해 기업들에 방문해 보면 보안 이슈로 ChatGPT 접속을 아에 막아놓았더군요.과연 이 기술을 기업들이 업무에 사용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1. 클라우드도 ChatGPT처럼 보안 문제로 사용을 꺼렸다처음 '클라우드'가 등장했을 때 많은 기업들은 사용을 망설였습니다. 이유는 간단했습니다. 대기업들이 자신들의 귀한 데이터를 공용(Public) 공간에 올려놓겠냐는 의구심이었죠. 클라우드 서비스는 데이터를 외부 서버에 저장하니, 만약 .. 2024. 9. 23.
ChatGPT의 허점들을 이용한 차별화된 글쓰기 법칙 인공지능은 앞으로 인간을 대체할 것이라고 합니다. 마치 인간과 똑같아질 거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죠. 그렇다면 정말 재앙일 것이데 말이죠. 이 게시물은 지금의 ChatGPT의 허점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내가 말하는 허점들을 보고 그런 것도 미래에는 다 보완될 건데? 인간을 뛰어넘을 텐데? 이렇게 말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그런 사람은 그냥 '뒤로가기'를 하셔도 좋습니다. 하지만 현재 ChatGPT의 약점을 알면 우리는 현시점에서 차별화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나는 과거도 미래도 아닌 현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미래에 보완될거라고 지금의 기회를 놓칠 수는 없으니까요. 그러면 어떤 허점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공감능력의 한계 ChatGPT는 입력된 문장에서 감정을 이해하는.. 2023. 12. 24.
ChatGPT(GPT-4)를 이긴 또 다른 거대모델(제미나이) OpenAI와 구글 연구진의 싸움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OpenAPI에서는 GPT를 제안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구글에서는 BERT라는 언어모델을 들고 나왔죠. 두 모델 모두 Transformer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GPT는 decoder 블록을 사용한다면 BERT는 encoder 블록을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죠. 구글에서 BERT를 내놓을 때 단어의 양쪽 방향으로부터 Context를 활용하기 때문에 더 좋은 결과를 낸다고 주장했습니다. 처음에 BERT가 더 진보된 모델로 다들 생각했습니다. 적어도 GPT-2가 나오기 전까지는 말입니다. GPT-2의 반격 GPT-2는 그 당시 거의 모든 웹페이지를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며 반격을 시작합니다. ”우리 GPT모델에 데이터만 많이 넣었더니 BERT보다.. 2023. 12. 17.
네이버 Que(Cue, 큐) 때문에 블로거들 사라진다 (feat ChatGPT) 23년 9월 네이버는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 큐:(Cue) 베타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이 서비스를 신청해서 써본 이들의 반응은 재각각이었죠. 가장 큰 이슈는 더 이상 블로그 검색을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었는데요. 그렇게 단정 지었던 이유가 있었습니다. 단순히 대화를 통해 맛집, 쇼핑 정보를 물어보면, Cue가 알아서 추천해 주는 방식이기 때문이죠. 여러번에 검색으로 블로그에서 정보를 찾을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생성형 AI 모델 Que 이런 대화형 방식은 이 블로그를 방문한 사람이라면 아마도 알고있는 개념이라 생각해요. 바로 자연어 처리를 이용한 생성 모델입니다. 실제로 Cue는 네이버의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클로바X보다 더 익숙하고 진보된 기술이 있습니다. .. 2023. 1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