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9월 네이버는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 큐:(Cue) 베타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이 서비스를 신청해서 써본 이들의 반응은 재각각이었죠. 가장 큰 이슈는 더 이상 블로그 검색을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었는데요. 그렇게 단정 지었던 이유가 있었습니다. 단순히 대화를 통해 맛집, 쇼핑 정보를 물어보면, Cue가 알아서 추천해 주는 방식이기 때문이죠. 여러번에 검색으로 블로그에서 정보를 찾을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생성형 AI 모델 Que
이런 대화형 방식은 이 블로그를 방문한 사람이라면 아마도 알고있는 개념이라 생각해요. 바로 자연어 처리를 이용한 생성 모델입니다. 실제로 Cue는 네이버의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클로바X보다 더 익숙하고 진보된 기술이 있습니다. 바로 OpenAI의 ChatGPT입니다. 점점 ChatGPT를 활용하는 사람들은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나의 트랜드가 되어 사업화하려는 프로젝트가 여기저기 생겨나고 있죠. 그런면에서 Cue가 국내시장을 장악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만약 지금이라도 네이버 Cue를 직접 경험하고 싶은 분들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ChatGPT 활용
이렇게 좋은 ChatGPT를 우리는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요? 모두들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궁금한 질문부터 글쓰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기 위해 초안 작성을 요청하기도 합니다. 어떤이는 영어회화 대화 상대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좀더 적극적으로 월 20$를 내고 ChatGPT Plus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플로그인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데요. 만약 자기가 하는 일에 필요한 플로그인이 있다면 유료도 생각해 볼만 합니다. 어찌됐던 우리들의 일에 생산성을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미래의 모습
언젠가는 구글이나 네이버 검색 엔진을 사용하듯 ChatGPT나 Cue를 사용하는 날이 올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 기술 때문에 블로거들이 사라질까요? ChatGPT 모델의 근간인 GPT 모델을 공부해 본 사람은 바로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겁니다. Input으로 웹 페이지의 방대한 글을 넣어 Training을 해야 새로운 글을 만들어 내는 구조입니다. 생각해 보면 블로그 글이 없으면 Cue는 더 이상 추천 글을 내놓지 못한다는 말이 됩니다. 과거의 내용에 그대로 머물러 있을 겁니다.
결론
네이버는 Cue 서비스를 확대하면서도 한쪽으로는 질 좋은 Input 데이터를 양산하는 블로그들에 대해 지원할 수 밖에 없습니다. Input 데이터가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이죠. 인공지능이 인간의 모든 것을 따라 할 수 있는 시대가 왔습니다. 하지만 인간이 없으면 인간을 따라할 수 없죠. 그래서 여전히 인간다운 감성 표현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결국 클로버X나 ChatGPT를 적극적으로 활용되더라도, 블로거들은 자신만의 개성과 독자와의 유대감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인간적인 감성과 경험이 없이는 독자들의 공감을 얻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인공지능과 차별화 되지도 않으니까요.
'IT 탐구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분석가 vs 데이터 엔지니어 하는 일과 현실 (1) | 2024.05.15 |
---|---|
갤럭시 S24에 적용한 온디바이스 AI 미래와 한계 (0) | 2024.02.07 |
머신러닝 공부 - 경험 및 노하우 (1) | 2023.12.28 |
ChatGPT의 허점들을 이용한 차별화된 글쓰기 법칙 (1) | 2023.12.24 |
ChatGPT(GPT-4)를 이긴 또 다른 거대모델(제미나이) (0) | 2023.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