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네트워크13 vi 에디터 사용법, 딱 30분만 투자하면 달라지는 나의 리눅스 실력 『 '데이널'의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는? 』 리눅스 환경에서 작업을 하다 보면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편집기 중 하나가 vi 에디터인데요. 윈도우 환경에 익숙한 사람들이 처음 접할 때는 익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vi 에디터를 조금만 알면 리눅스 환경에서는 최고라는 사실을 알게되죠. 그리고 한번 익숙해지면 빠르게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vi 에디터의 기본 사용법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1. vi 에디터 시작하기먼저, vi 에디터를 실행하려면 터미널에서 'vi 파일명'을 입력하면 됩니다. 명령어를 입력하면 파일명에 해당하는 파일을 vi 에디터로 열게 되는데요. 만약 해당 파일이 없다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됩니다. 파일명을 입력하지 않고 그냥 vi만.. 2024. 9. 20. 리눅스 명령어 모음: 꼭 알아야 할 기초 명령어들 『 '데이널'의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는? 』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기본적인 명령어를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명령어를 알면 시스템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터미널을 통해 빠르게 작업을 처리할 수 있죠. 이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꼭 알아야 할 필수 명령어들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 명령어들을 잘 익혀두면 리눅스에서 작업하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1. 파일 및 디렉터리 명령어리눅스에서는 파일과 디렉토리(폴더)를 관리하는 것이 아주 기본적인 작업인데요. 파일을 탐색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명령어들입니다.명령어설명예시ls현재 디렉토리(폴더)에 있는 파일과 폴더 목록을 보여줌ls .cd디렉토리(폴더)를 이동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cd Documents는 Documents 폴더로 이동하는.. 2024. 9. 12. 네트워크 포트와 포트 포워딩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트워크 포트와 포트 포워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일을 하다 보면 포트(Port)라는 말은 주변에서 자주 듣게 됩니다. 하지만 왜 포트를 사용하는지 그 개념에 대해 아는 사람은 드물죠. 이번 글에서는 포트에 대한 개념 그리고 포트 번호, 포트의 종류, 포트 포워딩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트(Port) 란 포트는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가장 종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논리적인 접속장소 개념입니다. 특히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를 사용할 때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상의 특정 서버 프로그램을 지정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SSH의 경우 22 port로 지정하여 22 포트로는 접속하는 경우는 SSH만 사용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Po.. 2023. 12. 27. 사설IP vs 공인IP 차이점 - 내 사설,공인IP 확인 방법 『 이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는? 』 우리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이유는 모두 IP 주소를 사용한다는 의미인데요. 그런데 사설 IP와 공인 IP에 대한 구분을 어려워하더라고요. 내가 사용하는 IP가 도대체 무슨 IP인지 모르는 분들에게 정확한 구별법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얼마 전에 있었던 일부터 들어보시죠. IP에 대한 웃지 못할 해프닝새로 입사한 팀원에게 현재 개발 환경의 IP 구성을 설명하는 중에 살짝 당황스러운 일이 있었는데요. "IP 주소가 왜 두 개나 있어요?"라는 질문을 받았기 때문이었죠. 어디서부터 설명해야 할지 잠깐 난감한 시간이 흘렀습니다. 나 : "OO 씨 사설 IP는 우리 회사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주소고, 공인 IP는 외부 인터넷에 연결될 때 사용하는 주소라고 생각하면.. 2023. 12. 22. IP주소, 서브넷마스크 없었으면 어쩔뻔? 이번 포스팅에서는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그 구조에 대해서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IP 주소란 IP는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노드)를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위치주소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주소는 IPv4 포맷입니다. 일반적으로 32 bit로 표현해서 약 43억 개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IP의 각 자릿수(3자리)를 옥텟이라 부르며 dot(.)으로 구분합니다. IP 주소의 두 가지 목적 IP 주소는 호스트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식별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위치를 제공 목적 IPv4 vs IPv6 가장 널리 사용되는 버전인 IPv4는 점으로 구분된 4개의 십진수 세트(예: 192.168.1.1)로 표시되는 32비트.. 2023. 12. 21. 리눅스 계정 관리 - 사용자(user), 그룹(group), 패스워드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의 계정 관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정 관리는 사용자(user), 그룹(group)이라는 두가지 구성 요소로 나누어 이야기 해볼 수 있는데요. 저번 포스팅에서 살펴 봤던 리눅스 권한(Permission) 관리도 사용자, 그룹으로 관리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사용자(user) 관리 Linux에서는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는 각 개인에게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useradd 명령은 새 사용자를 추가하는 데 사용되며 passwd라는 명령어로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이때 생성하는 user는 root유저라고 super user입니다. 그래서 리눅스에서는 크게 super user와 일반 유저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계정 생성시 sudo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는데요.. 2023. 12. 19. 리눅스(Linux) 권한 관리 - Permission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권한 관리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에서는 파일과 디렉터리에 대해 허가권(permission)과 소유권(ownership)으로 관리합니다. 이 글에서는 Permission에서 대해 어떻게 관리하고 사용하는지 알아 보록 하겠습니다. Permission이란 많은 개발자들이 폴더에 접근 권한이 없어 진입이 안된다거나, 실행 파일에 권한이 없어 실행하지 못해 error가 나는 상황을 겪어보았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권한, 즉 Permission을 제대로 주지 않아 생기는 문제들이죠. 인증, 권한 부여, Permission은 각각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인증 : 자신이 누구인지 확인 받는 절차 권한 부여 : 인증받은 주체가 사용할 수 있는 권한 Permission.. 2023. 12. 18. 리눅스(Linux) 환경변수 설정(profile, bashrc) 『 '데이널'의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는? 』 리눅스에서 환경변수는 왜 설정하는 걸까요? 이유는 Linux 운영 체제가 복잡해질수록 환경 변수는 일관된 환경을 만들어주는 역할하기 때문입니다. 환경 변수는 사용자별 적용 환경, 전체 환경을 적용 측면에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글에서 환경 변수의 개념, 사용법, 그리고 어떤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환경 변수란기본적으로 환경 변수는 Linux 프로그램의 프로세스와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값입니다. 운영 체제와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간의 필요한 필수 정보를 정의합니다. 이러한 변수는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환경에서 설정되어 명령 프롬프트 등 실행 환경에 영향을 미칩니다. 리눅스에서 환경 변수는 두가지 측면에서 관리합니다. 첫.. 2023. 12. 6. 리눅스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쉬운 설명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쉘 스크립트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리눅스는 보통 CLI 환경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그러다 보니 여러 명령어를 반복 실행하거나 복잡한 작업을 자동화해야 할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 때 필요한 도구가 리눅스 쉘 스크립트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 쉘 스크립트의 기본 개념, 작성 방법, 실행 방법에 대한 예시를 들어 알아보겠습니다. 쉘 스크립트란? Shell Script는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와 프로그램을 시퀀스로 나열한 스크립트 파일입니다. 스크립트라고 부르는 것처럼 텍스트 파일로 작성합니다. 실행파일을 특별히 만들 필요없이 Script를 실행하면 파일에 포함된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실행됩니다. 이런 방법으로 우리들은 복잡한 작업을 .. 2023. 11. 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