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1 오라클 힌트(hint) 종류 및 사용법 『 '데이널'의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는? 』 이번 글에서는 오라클 힌트 종류 및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힌트(Hint)는 쉽게 말하면 dbms에게 SQL를 최적화를 위해 힌트를 주는 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관리자(DBA)나 개발자가 오라클 내부 Optimizer가 선택한 실행 계획(explain plan)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내 마음대로 컨트롤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죠. 여러분이 Oracle Hint의 개념과 작동 방식을 이해한다면 힌트를 이용해 효율적인 쿼리 만들 수 있습니다.주석이 아니고 힌트라고?힌트는 Query Optimizer에 지시하기 위해서 SQL 쿼리에 포함된 주석처럼 생겼습니다. 오라클을 처음 배우는 친구들에게 설명해 줬더니, "이건 주석 아닌가요?" 라고.. 2023. 11. 29. SQL Nested Loop Join(조인) - Outer table, Inner table, Driving Table, Driven Table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집합 계념이 중요한데요. 집합의 연산은 바로 조인입니다. 그 조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 Nested Loop Join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조인은 Nested Loop Join, Hash Join, Merge Join 등 방법이 있습니다. Nested Loop Join은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조인 방식입니다. 이글에서는 Nested Loop Join의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Nested Loop Join이란명칭을 그대로 번역하면 '중첩 루프 조인'이라고 하는데요. 줄여서 NL 조인이라고도 합니다. 중첩 루프(nested loop)라는 말을 해석해 보면 '루프'라는 용어는 반복을 나타내고, '중첩'이라는 것은 여러 개가 겹치는 것을.. 2023. 11. 28. 실행 계획 보는 법 - SQL 튜닝 이번 글에서는 실행계획(explain plan)을 보는 법을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실행 계획은 한마디로 SQL이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지 보여줍니다. 데이터베이스 엔진에서 실행할 예상 정보를 제공합니다. 우리가 실행 계획을 읽고 해석할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더 나은 성능을 위해 쿼리 튜닝을 할 수 있습니다. 실행 계획을 rdbms 종류에 상관없이 일반적인 개념은 비슷합니다. 그럼 이번 기회에 확실히 일아두죠. 실행계획 해석실행계획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실행계획의 구조를 알아야 합니다. Database 마다 조금씩 다르기도 하죠. 만약, MySQL의 실행계획 보는 법을 알고 싶다면 링크를 참고하세요. 이 글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오라클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실행계획을 해석하기 위해 읽는 순.. 2023. 11. 27. [SQLD] 데이터베이스 인덱스(Index) 왜 사용할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덱스 컬럼을 왜 만드는지 궁금하신 분들이라면 주목해 주세요. 보통 데이터베이스에서 많이 활용하는 인덱스는 B*Tree Index입니다. 그리고 가끔 Bitmap Index를 사용합니다. 저는 B*Tree Index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왜 Index가 필요할까?우선 '인덱스가 왜 필요할까?'에 대한 해답은 검색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우리가 책을 구입하면 제일 처음에 목차를 보고 쉽게 해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듯이 인덱스는 목차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RDBMS에서는 정렬된 순서로 인덱스 데이터를 구성하여 SELECT 할 때 해당 인덱스를 사용해 빠르게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량이 많을 때 빠른 검색을 도와.. 2023. 11. 24. [SQLD] 조인(Join) 종류(3) - Full Outer, Natural, Cross 조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인의 마지막 내용으로 Full Outer Join, Natural Join, Cross Join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ull Outer Join Full Outer Join은 Left Outer Join과 Right Outer Join의 결과를 결합하는 조인 유형입니다. 조인되는 두 테이블의 모든 행을 반환하며, 왼쪽 테이블과 오른쪽 테이블의 일치하는 행이 함께 표시되고, 일치하지 않는 테이블의 열에 대해 NULL 값이 포함된 일치하지 않는 행이 반환됩니다. Full Outer Join은 모든 데이터베이스가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만약 MySQL 등 Full Outer Join을 지원하지 않는 데이터베이스에서는 Left Outer Join 결과와 Right Outer Join.. 2023. 11. 23. [SQLD] 조인(Join) 종류(2) - Inner 조인 vs Outer 조인 이번 포스팅은 SQL 조인의 두번째로 Inner 조인과 Outer 조인에 대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nner 조인은 쉬운데 Outer 조인은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 Outer 조인을 어떻게 외우면 Oracle에서 확실히 기억할 수 있는지 그 방법을 공개 하겠습니다. Inner Join Inner Join은 번역하면 내부 조인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지정된 조인 조건을 기준으로 두 테이블 모두에서 일치하는 행만 아래와 같이 결과가 나오는 조인을 말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배웠던 Equi-Join이나 Non equi-Join이 Inner Join에 해당합니다. SQL> SELECT A.no, B.no, B.col FROM emp A, dept B WHERE A.no = B.no .. 2023. 11. 22. [SQLD] 조인(Join) 종류(1) - Equi, Non-Equi, 카테시안곱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조인(Join)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데이터베이스를 배울 때 rdbms는 집합 계념이 중요하다고 선배들이 입버릇처럼 말했었죠. 다른 프로그램과 다르게 SQL은 이 걔념을 알아야 올바른 쿼리를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 였습니다. Join은 무엇을 말하고 Join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Join 이란 조인은 다른 말로 집합간의 곱(Product Of Set)이라고 말합니다. rdbms에서 서로 독립적인 데이터들간의 데이터를 연결을 위해 조인을 이용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쉽게 말하면 조인은 두개의 데이터를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조인을 이용해 필요 시 원하는 다양한 정보를 참조하고 새롭게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2023. 11. 22. [SQLD] 함수의 종류 및 활용(문자함수, 숫자함수, 날짜함수, 분석함수, ALL, ANY) SQL을 사용하기 시작했다면, 바로 보게 되는 것이 합니다. 이를 dbms 내장 함수라고 하는데요. 이 부분은 SQLD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잘 이해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SQL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요 기능 중 하나가 다양한 함수입니다. 이글에서는 다양한 SQL 함수를 살펴보고 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또 함수를 통해 데이터 조작 및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같이 알아보시죠. 함수의 활용데이터베이스 데이터들의 계산할 때 수행합니다. → ANY, ALL개별 데이터 항목, 즉, 컬럼을 수정할 때 사용합니다. → 문자 함수행 그룹에 대한 출력 결과를 조작할 때 사용합니다. → 분석 함수표시할 날짜 및 숫자 형식 지정하거나 변환할 때 사용합니다. → 숫.. 2023. 11. 20. [SQLD] 데이터베이스 제약조건 및 형변환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유일성, 일관성 등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약조건을 오라클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데이터 타입과 타입 간의 형변화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약조건(Constraint) 오라클에서 제약 조건은 해당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의 무결성과 정확성을 강화하기 위해 테이블에 정의된 규칙입니다. 제약 조건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가 특정 조건이나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합니다. 결국 데이터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죠. Oracle은 아래와 같이 특정 목적에 맞는 다양한 유형의 제약 조건을 지원합니다. 제약 조건(PK, FK 등)을 지정하는 방법은 테이블 생성하면서 지정하는 방법과 테이블 생성 후 ALTER TABLE 명령어로 지정하는 벙법이 있습니다. 두 .. 2023. 11. 17.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