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결정나무2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종류 및 학습 - 장단점 이전 포스팅에서 의사결정나무의 특징 및 동작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았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떤 종류가 있고 학습은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마지막에는 Decision Tree 알고리즘의 장단점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의사결정나무 모델 종류 Decision Tree는 흔히 재귀적 분할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재귀적이라는 말은 자기자신을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우선 자신의 하나의 노드 내에서 하나의 변수 값을 기준으로 분기합니다. 그리고 새롭게 생성된 자식 노드들의 동질성이 최대화되도록 분기점 선택하는 원리입니다. 여기서 동질성이 불순도와 같은 개념입니다. 이전 불순도 알고리즘에서 배웠던 것처럼 불순도를 최소화하는 일을 합니다. Decision Tree 불순도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은 링크를 참고하세.. 2023. 9. 19.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특징 및 동작 원리 - 불순도 알고리즘 이 글에서는 의사결정나무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Tree 모델 중에 가장 기본이 되는 모델이기 때문에 원리를 알아 놓으면 다른 모델들의 동작원리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는 XGBoost, LightGBM, CatBoost 등도 모두 Tree 모델들입니다. 『 '데이널'의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는? 』 Decision Tree의 특징은?의사결정나무 알고리즘은 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패턴을 찾아 예측 가능한 규칙들의 조합으로 나타냅니다. 한마디로 잘게 분해한다는 이야기죠. 그 분해하는 모양이 ‘나무’와 같아서 Decision Tree라고 불립니다. 패턴을 찾아 동작하는 방식은 질문을 던져 대상을 좁혀나가는 ‘스무고개’ 놀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하면 좋습니다. 이러한.. 2023. 9. 18. 이전 1 다음